-
반응형
가래가 생기는 원인 오늘 말씀드리는 가래 유형에 해당된다면 연관 질환이 있는지 없는지 꼭 확인해 보시고요
혹시나 특정 색을 띠는 가래가 보인다면 미루지 마시고 내일이라도 꼭 병원에 가보셨으면 합니다.
목차
가래는 왜 생길까요?
환절기가 되면서 목에 가래 낀다고 하는 분이 많아졌습니다.
가래가 끼면 대화 중에도 자꾸 민망한 상황이 발생하는데 이 뱉어도 뱉어도 없어지지 않는 목에 가래는 크게 3가지 경로를 통해서 유입됩니다.
1. 기관지와 폐에서 만들어져서 위로 올라오는 경우
2. 코와 부비동에서 생긴 점액질을 뒤로 넘어와서 목에 끼는 경우
3. 코에 문제가 아니라 식도로 위산이 역류해서 후두염이 발생되며 만들어진 가래가 있습니다.
우리 몸속의 어떤 문제가 있는지에 따라서 이 가래 모양과 색이 달라지기 때문에 가래가 자꾸 낀다면 그냥 뱉지 마시고 뱉어서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분이 전혀 걱정할 필요가 없는 건강한 가래부터 위험한 가래까지 쭉 한번 알아봅니다.
우리 몸에는 수분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끈적거리는 점액질이라는 것이 필요합니다.
점액질은 우리 몸속의 수분이 날아가지 않게 꼭 잡아 주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이물질을 아메바처럼 쏙쏙 흡착해서 제거하는 청소부 역할을 합니다.
입 안에서 많은 점액질이 분비가 되며 입을 비롯해서 위장관에서도 만들어지고 코, 부비동 또 패 기관지에서 하루 1 레터에서 1.5리터 정도의 점액질이 만들어집니다.
이 점액질 중에서 특히 호흡기 쪽에서 만들어지는 점액질을 따로 가래라고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래가 꼭 나쁜 것은 아니고요 정상인의 경우에는 하루 한 100ml 정도의 가래가 분비가 됩니다.
이런 정상적인 건강한 가래는 아주 부드럽게 삼켜지고 또 배출이 잘되기 때문에 목에 걸리는 느낌이 거의 없어요
그런데 가래가 점점 끈끈해지고 목에 끼며 또 색깔이 어둡게 변한다면 이것은 우리 몸속에 문제가 있다는 신호입니다.
출처:pexels 가래 색깔별 증상은?
과거 또는 현재 가래가 있다면 색깔은 어떻던가요? 하얀 가래, 노란 가래, 녹색 가래, 갈색 가래 하나씩 알아볼게요.
- 먼저 맑고 하얀 가래가 있죠
이것은 거품과 침이 반이 섞여 있는 가래인데 보통 감기 같은 상기도 감염이나 알레르기 비염 또 위식도 역류증이 있을 때 많이 생깁니다.
또 맵고 뜨거운 음식을 먹고 나면 꼭 목에 가래 끼는 분들이 있어요
이것은 이제 음식을 섭취하면서 콧속에서 점액질 분비량이 갑자기 많아지면서 그게 뒤로 넘어가서 목에 가래가 끼는 건데요 이렇게 맑고 하얀 가래는 보통 가벼운 염증이나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서 일시적으로 가래 분비량이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뱉었을 때도 어렵지 않게 잘 배 터지는 등이 있습니다.
- 목에 들러붙어서 훨씬 뱉는 것이 어렵고 뱉었을 때는 찐득한 노란 가래가 있습니다.
심하면 가래에서 악취가 나며 가래를 뱉었을 때 노랗다면 몸에 염증이 있다고 보면 됩니다.
면역 세포가 싸우면서 만들어 낸 세균 덩어리 또는 떨어져 나온 상피세포 조직들이 섞여 노란 고름이 되는 것인데요 단순 감기가 아니라 부비동 염이 심해져서 생긴 농이 코 뒤로 넘어오고 또 기관지염, 폐렴, 폐농양 같은 하기도의 감염이 있을 때 노란 가래가 끓게 됩니다.
- 만약에 가래를 뱉어 는데 녹색 가래가 나온다면 굉장히 놀랄 수가 있는데요
이것은 녹농균 같은 세균 감염이 있을 때 그 결과물로 잘 나타나는 가래입니다.
기관지 탄력이 좋지 못해 늘어지는 기관지 확장증의 경우에는 이 가래가 잘 배출되지 못하고 거기 모이면서 세균 번식에 장소가 될 수가 있기 때문에 녹색 가래가 잘 생길 수가 있어요
녹농균은 항생제의 매우 높은 내성이 있는 슈퍼 박테리아 중에 하나예요 그래서 한번 걸리면 패혈증으로 진행해서 좋지 못한 결과가 올 수 있습니다. 이 균은 습한 환경에서 아주 잘 번식하기 때문에 호흡기가 약한 분이라면 특히 우리 집에 샤워기 또 칫솔, 물이 묻은 수세미 같은 경우는 잘 건조해서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 폐의 기관지가 망가져 가고 있음을 나타내는 가장 위험한 가래는 바로 갈색 가래입니다.
가래를 뱉었는데 계속 어두운 빛깔의 갈색 가래가 나온다 그리고 기침도 하면서 최근에 체중도 빠지고 있다고 한다면 이 때는 즉각 병원에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폐 기관지에 암 또는 심한 염증으로 실핏줄이 터지면서 고여 있다가 배출되는 가래이기 때문이에요
암이 아니라 기관지 확장증 또 폐결핵 같은 경우에도 처음에 노란색이었다가 질환이 점점 진행되면서 녹색 가래로 바뀌었다가 이후에 갈색 가래에 이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통 갈색 가래는 질환이 위중할 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정확한 것은 다른 호흡기 증상, 발열 및 엑스레이와 다른 기타 검사를 통해서 진단할 수 있어요
지금부터 가래가 나온다면 가래를 그냥 뱉지 마시고 휴지에 뱉어서 꼭 상태 확인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래는 폐를 보호하기 위해서 이물질 및 먼지가 기관지로 들어가는 것을 1차적으로 잡아 주는 아주 중요한 자정작용을 한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한 군데 고이거나 들러붙지 않고 항상 잘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건조하지 않았을 때 가래가 이동이 쉬워지고 본연의 역할도 잘 수행할 수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