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오늘의 주제는 코로나 19 예방접종, 백신의 면역이 얼마나 지속되는지 즉 면역의 유효기간에 관련된 이야기입니다.
이 예방 접종의 유효기간 즉 면역의 지속 기간을 알기 위해서는 그 이전에 진행되었던 연구를 한 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를 통한 연구
여러 연구가 있었는데요. 코로나 19에 감염된 게 확인됐는데 무증상으로 14일간 생활치료센터에 격리되었거나, 또는 외국에서는 자가 격리나 병원에 입원하셨던 분들을 통해 연구했던 결과들이 있습니다.
그분들에 혈액검사를 통해서 T 면역, 또는 B 면역이 얼마나 지속되는 지를 한번 관찰을 해봤어요.
T 면역, T 세포 면역이라고 하는 것은?
코로나 19에 감염된 직후에 급격히 올라갔다가 사라집니다.
그런데 이 B 면역, B 체액 면역이라는 것은 서서히 올라갔다가 서서히 내려가는데요. 코로나 19에 감염된 이후에 B 면역을 추적 관찰했더니 6개월까지는 어느 정도 관찰이 되었다는 겁니다.
물론 윤리적 측면이 있기 때문에 코로나 19에 감염돼서 회복된 분한테 다시 코로나19를 걸리게 해서 이게 예방이 되는지 안 되는지를 임상적으로 진행을 하지 못했죠.
하지만 이런 부분들은 있었습니다.
코로나 완치 후, 재 감염
코로나 19에 감염되어서 무증상 등으로 완전히 회복하신 분이 코로나 19에 또 감염이 될 수 있겠죠.
그런 부분들에 있어서 확인했더니, 실제로 증상도 굉장히 가볍게 지나가고 면역이 오히려 올라갔다고
하는 물론 이건 일부러 진행한 게 아니라 다시 재감염 사례에서의 추적 관찰이었는데요. 따라서 이렇게 결론이 났습니다.
미국이나 영국 등에서 예방 접종 완료 후 6개월 또는 12개월 이후에 면역에 대해서 확인했더니 " 최소 6개월 간은 면역이 지속되어서 코로나 19에 감염되었을 때" " 감염 회피 및 중증으로 진행되는 가능성이" " 현격히 떨어질 수 있다.
"라고 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고요.
12개월 차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결과가 뚜렷하게 나온 바는 없습니다.
하지만 미국에 한 대학에서 14명에 대해서 연구를 해본 결과 메신저 RNA 방식의 예방 접종을 받는 경우에는 일부에서 " 면역이 평생 지속될 수 있겠다 "라고 하는 그런 의견이 나와서 화제가 됐는데요. 이 부분은 앞으로도 더 연구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코로나 19에 자연 감염 후 회복된 것도 6개월 예방 접종을 받은 다음에도 면역의 지속 기간이 6개월이라고 하면 " 에이, 그 예방 접종 맞아서 뭐해" 하시는 분이 생길 수도 있는데요. 다음 정보를 들으시면 더 놀라실 거예요..
실제로 미국에서 진행된 연구인데요.
코로나 19에 자연 감염되었던 분이 코로나 19 예방 접종을 받았던 경우에는 6개월 그 이상의 높은 면역 수치를 보였다고 합니다.
따라서 과거에 코로나 19에 감염되었다가 회복되신 분들은 주치의 선생님과 상의해서 예방 접종을 하시게 된다면 더 오랫동안 면역을 가질 수 있을 텐데요.
문제는 변이 바이러스!
독감처럼 코로나 19 바이러스는 변이가 생깁니다.
우리가 독감 예방 접종을 매년 받는 이유가 사실 독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매년 변이를 일으킵니다.
그중에 사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바이러스가 4 종류가 있어요.
이게 바로 H1N1이 가장 유명하죠?
H3N2, 야마가타, 빅토리아 이렇게 네 개. 그래서 우리가 독감 예방 접종을 4가 예방 접종을 하는 것입니다.
이 굉장히 복잡한 수학적 조합이에요.
이 네 개가 각각 변이를 일으키니까 거기에서도 하나씩 맞춰 가지고 각각의 변이까지 다 계산해서 4개를 조합해서 접종합니다.
실제로 현재 우리가 코로나 19의 변이가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람다, 굉장히 많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유행이 될지 모르지만 독감 바이러스가 매년 변이를 일으키는 것을 예측해서 매년 받는 독감 예방 접종이 나오듯이 코로나 19 백신인 경우에도 매년 발생할 수 있는 변이를 예측하거나 또는 우세종의 변이에 대해서 이것을 이겨낼 수 있는 예방 접종이 매년 필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앞으로 코로나19도 완전 종식이라기보다는 계절성 독감처럼 같이 살아야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면역을 꾸준히 획득하기 위해서 코로나 19 예방 접종도 꼭 맞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