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 10. 24.

    by. 소소와 함께하는 건강

    반응형

    오늘은 코로나-19 예방 접종 궁금해하는 모든 것을 알아봅니다.

     

    목차

       

      코로나 19 증상이 없다면?

      예방 접종을 받으셨는데 다른 사람은 열도 나고, 두통도 생기고, 근육통도 있고 증상이 있다고

      하는데 저는 아무 증상이 없다면 혹시 효과가 없거나 항체가 생기지 않은 걸까요?

      정답은? 예방 접종 후에 나타나는 증상과 항체 발열은 관련이 없습니다.

      그 이유는 실질적으로 예방 접종 후에 발열, 두통, 몸살 어떤 경우에는 소화 불량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지만 예방 접종 후에 전혀 증상이 없는 분들도 있습니다.

       

      예방 접종 후 항체가 생기는 즉, 중화 항체 또는 우리 몸에서의 이뮤노글로빈 G와 같은 우리 몸을 지켜 내는 항체가 만들어지는 과정 중에는 여러 면역반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특정한 기간이 지나고 나면 몸에 항체가 생기곤 하는데요. 이 항체가 언제 어떻게 생기고, 얼마큼 생기는지는 아직 명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독감 예방 접종이 WHO 기준 60% 이상 대상 포진 예방 접종 50% 이상이면 효과적이고 훌륭하다고 나와 있고요.

       

      지금까지 연구된 메신저 RNA 나 또는 바이러스 벡터 방식 그리고 노바백스와 같은 재조합 방식 같은 경우 모두 다 80% 이상의 항체가 생겼다고 보고하고 있는 바 아마도 증상이 없으셨어도 혈액 검사를 통해서 항체가 생긴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코로나19 이미 확진받았다면?

      코로나에 확진을 받으셨든, 증상이 있어서 병원에 입원하셨거나 또는 증상이 거의 없어서 생활치료센터에 들어가셨던 분 과연 코로나 예방 접종이 필요할까요?

       

      정답은 ' 코로나 예방 접종을 한다'입니다.

       

      그 이유는 이 코로나를 앓고 또는 치료의 경험을 하신 분들이 갖게 되는 중화 항체 즉, 예방 접종에서 원하는 바이러스가 몸에 들어왔을 때 바이러스가 증식이 안 되도록. 또는 다른 사람에게 전파가 되지 않도록 예방 접종 후에 효과에 대한 연구는 있는데요. 실질적으로 코로나 -19에 감염되셨던 분이 코로나 -19에 다시 노출되었을 때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지에 대해서는 이건 윤리적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이거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는 없습니다.

      다만, 항간에 이런 분들이 있으시죠?

      예전에 코로나 -19에 감염, 격리되셨던 분이 다시 다른 변이 주에 감염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코로나 -19에 감염, 발병, 진단이 되어서 일정 기간 격리 또는 치료를 받으셨던 분은 이렇게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격리 해제 또는 치료 해제 후, 12 주가 지난 다음에 증상이 없고 코로나 -19 검사에서 음성을 보이는 분이라면, 코로나 -19 예방 접종 대상자입니다.

       

      여러 변이주 지금 나온 백신으로 괜찮나?

      남아공 변이주, 영국 변이주, 인도 변이주, 브라질 변이 주 굉장히 다양한 변이주들이 국내에 들어오고 있고 이런 것들이 이제 지역사회 전파가 확인되고 있는데요. 이런 변이 주에도 새로운 코로나 19 예방 접종이 효과적일까요?

       

      사실 우리나라의 대한민국 20216월 현재 사용 중이고 승인 중인 예방 접종은 RNA 방식의 화이자- 바이온텍. 아스트라제네카, 바이러스 벡터 방식 두 가지가 있는데요. 이 두 가지 다 현재 국내외 연구결과에 따르면 '변이 주에 대해서 효과적이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특히 남아공, 영국 변이주 같은 경우는 '아스트라 제네카 예방 접종에 대해서 효과적이다.'라고 나와 있고요.

      이스라엘 등에서 연구된 바에 의하면 화 이자- 바이온텍 예방 접종인 경우에는 변이 주에도 어느 정도 효과적이고 입원율을 낮췄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에서 진행되는 예방 접종 모두 어떠한 변이 주에도 효과적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반응형